2대의 스위치 사이에서 VLAN을 사용하기 위해 Trunking을 할 경우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VLAN의 값에 의해 필자가 헷갈리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CCNA 문제에서도 이 기본값에 따른 Trunking 설정시 작동 여부를 묻는 문제가 출제되어 필자를 혼동에 빠뜨렸다...


 스위치는 기본적으로 별도의 설정을 해주지 않으면 트렁킹 모드는 auto로 되어있다. (이걸 생각 못하고 애먹었다는...)

 이를 염두해 두고 Packet Tracer를 통해 2대의 스위치를 연결하여 직접 확인해 보기로 하자.


 먼저  Switch0과 Switch1을 Crossover 로 연결하였다.

 Switch0 CLI를 통해 현재 상태를 확인해 보기로 하겠다.

일단 G0/0에는 아무런 설정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show running-config 를 통해 확인해 봐도 아무런 설정이 적용되어 있지 않다.






 show interfaces trunk 명령어를 입력해봐도 아무런 출력이 나오지 않는다.





 Switch1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여준다. 이는 생략 하도록 하겠다.



 이제 Switch0의 G1/1 인터페이스 모드 에서 switchport mode trunk 명령어를 입력한 후의 결과를 살펴보기로 하자.

 Swith0 에서 해당 명령어를 적용한 후 show interfaces trunk 명령어를 입력하면 Trunking 상태이며 Mode에 On으로 되어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다음은 Switch1에서 확인한 모습이다. Switch1에서는 별도의 설정을 해주지 않았으므로 Mode에 auto라고 되어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따라서 위를 통해서 알 수 있는 사실은 2대의 스위치 사이에 별도의 Trunking 설정을 해주지 않은 경우, 기본적으로 auto 모드가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두 대중 적어도 한대의 장비에만 Trunk 모드를 적용해 줘도 Trunking이 작동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은 두 장비간 설정에 따른 Access, Trunk 작동 여부다.


 Administrative Mode

Access 

Dynamic Auto 

Trunk 

Dynamic Desirable 

 access

 Access

  Access

  Do Not Use

 Access 

dynamic auto 

  Access

  Access

  Trunk

  Trunk

trunk 

 Do Not Use

 Trunk

  Trunk

  Trunk

 dynamic desirable

  Access

  Trunk

  Trunk

  Trunk


※ dynamic 모드에서는 desirable 일 경우에는 해당 명령이 설정된 장비에선 지속적으로 Trunking을 하겠다고 광고를 한다.

     auto 모드가 설정된 장비에서는 Trunking을 하겠다는 메세지가 오기만을 기다리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dynamic auto ---- dynamic auto 로 설정한 경우엔 Trunking이 작동하지 않는 Access 상태가 되며 이는 별도의 Trunking

    설정을 하지 않은 기본값에 해당됨에도 유의하기 바란다.

    trunk 모드 역시 지속적으로 Trunking을 하겠다고 광고를 한다.

Posted by jollaman999